flagcounter

free counters

앱솔루트코리아

오디오트랙

엔바이존

로지텍

NCTOP

리플미니

비스타타블렛

애드센스

위글

다나와리포터

다나와리포터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AONE



구글, 기능 최적화된 차세대 안드로이드 4.1 젤리빈(Jelly Bean) 공개 스마트폰/스마트패드

구글(Google)이 새로운 안드로이드 4.1 운영체제 젤리빈(Jelly Bean)을 정식 공개했다.


구글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개발자 회의 '2012 구글(Google) IO'를 통해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소개된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은 UI나 기능이 대폭 변경되는 메이저 업데이트가 아닌 직관적인 UI에서 최고의 성능과 터치 반응 속도(대기시간)를 제공하도록 최적화시킨 버전으로 알려졌다.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의 주요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터치스크린 반응성 개선


구글은 일관된 프레임률을 제공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4.1에서 vsync 타이밍을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상에서 모든 드로잉 및 애니메이션까지 확장시켰으며,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렌더링, 터치 이벤트, 스크린 구성, 그리고 디스플레이 리프레시가 모두 16ms vsycn로 고정되어 프레임이 더 빠르거나 늦어지지 않는다.



또한 안드로이드 4.1은 그래픽 파이프라인에 트리플 버퍼링을 추가해 보다 일관된 렌더링으로 스크롤링부터 페이징, 애니메이션까지 모든 것이 부드럽게 느껴지도록 만들었다.


안드로이드 4.1은 터치 응답을 개선해 동기화 터치(synchronizing touch)로 vsync 타이밍 뿐만 아니라 스크린이 리프레시 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곳에 대한 능동적인 예측으로 보다 균일한 터치 반응을 제공한다. 또한 비활성 기간 동안 안드로이드를 CPU 입력 부스트를 적용해 다음 번 터치가 생겼을 때 지연 없이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접근성(Accessibility)이 향상된 새로운 API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와 내비게이션 버튼, 제스처 등을 통한 접근성 설정을 기존의 환경설정의 하위 항목이 아니라 실행 앱 리스트에서 바로 볼 수 있도록 재설계했다.


 


앱과 연계되는 알림 기능 확장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은 알림(Notifications) 프레임워크의 메이저 업데이트로 개발자들이 중요하거나 시간 기반의 정보를 앱의 정상적인 UI를 벗어나 알림 바에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 알림 바는 사진을 포함한 새로운 타입의 컨텐츠를 지원하고, 우선 순위 구성이나 다중 작업을 포함시킬 수 있다.



알림 빌더 개선을 통해 개별 앱은 알림 바에서 최대 256DP 높이의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 여러줄의 텍스트뷰 오브젝트를 포함한 'BigText스타일', 메시지 같은 모든 종류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BigInbox스타일', 그리고 비트맵과 같은 비주얼 컨텐츠를 보여주는 'BigPicture스타일'의 세 가지 템플릿 알림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 템플릿 스타일 외에 추가로 모든 리모트 뷰어에서 사용하는 개발자 고유의 알림 스타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알림에서 보여지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동작이 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어 수신된 이메일을 보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는 것을 개별 앱에 들어가지 않고도 알림 바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확장 알림을 통해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유저들의 수요에 맞춰 보다 많은 정보를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다. 유저들은 알림 바에서 해당 앱의 알림 기능을 길게 누르는 것으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해당 앱을 알림에서 간단하게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보다 다양한 언어와 키보드 지원


안드로이드 4.1에서는 텍스트보기와 텍스트편집에서 요소에서 양방향 텍스트(bi-directional text)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표시 방향을 왼쪽 기준 뿐만 아니라 오른쪽 기준으로 스크립트에서 텍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랍어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글씨도 처리 가능하다.



새로운 언어 지원에 추가된 내용은 인도어 가운데 칸나다어, 텔루구어, 말라얄람어가 들어가고, 유니코드 6.0 버전부터 새로운 이모티콘 문자, 일본어 사용자를 위한 더 나은 문자 지원, 텍스트뷰를 위한 아랍문자 추가로 아랍어 웹뷰에 최적화, 루비 텍스트와 수직 텍스트 문자의 추가로 웹뷰의 세로 텍스트 지원, 굵은 글씨체를 지원하지 않은 모든 글꼴에 사용할 수 있는 합성 볼드 등이 포함된다.


유저 설치가 가능한 키보드 맵을 지원해 전세계 키보드 및 특별한 레이아웃 타입의 키보드를 추가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4.1은 기본으로 27개의 전세계 키보드 맵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키맵 설정을 통해 본인이 타이핑시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ctrl-space)를 스위칭해서 쓸 수 있다.


 


HTML5와 자바스크립트 성능이 향상된 웹 브라우저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웹뷰(WebView)는 보다 나은 HTML5 비디오 재생을 위해 터치 투 플레이/포즈와 인라인에서 풀스크린으로 부드러운 전환을 지원한다.


또한 더 나은 스크롤 및 줌 성능을 위해 렌더링 속도 개선 및 메모리 사용량을 낮췄으며, HTML5/CSS3/ Canvas 애니메이션 성능도 개선했다. 여기에 텍스트 입력 개선, 보다 나은 자바스크립트 성능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엔진 업데이트(V8), 업데이트 된 HTML5 미디어 캡쳐 스펙 지원 등이 포함된다.


 


USB 오디오 출력과 멀티채널 오디오 지원


USB 오디오 출력 지원으로 하드웨어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장치에 연결하는 오디오 독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 기능은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개발 킷(ADK)과 함께 공개되므로 모든 개발자들에게 자신의 하드웨어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멀티채널 오디오 지원으로 안드로이드 4.1 장치는 HDMI 포트를 통한 하드웨어 멀티채널 오디오 출력이 가능해진다. 멀티채널 오디오는 게임이나 음악, 비디오 재생 앱에서 보다 풍부한 미디어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해당 기기의 하드웨어가 멀티채널 오디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안드로이드가 자동으로 해당 기기가 지원하는 오디오 출력에 맞춰 오디오 채널을 다운믹스 해준다. 또한 안드로이드 4.1은 AAC 5.1 오디오의 인코딩 및 디코딩 지원이 들어갔다.


 


개발자를 위한 미디어 기능 향상


안드로이드 4.1 플랫폼은 플랫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코덱에 로우레벨 액세스를 제공해 애플리케이션이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로우레벨 미디어 코덱 탐색 및 사용하거나 DRM 솔루션으로 보호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코덱을 호출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오디오 녹음 전에 전처리(preprocessing) 효과를 적용해, 음성 녹음시 노이즈 억제로 녹음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에코 취소, 볼륨 레벨 유지를 위한 자동 게인 컨트롤 등으로 앱에서 고품질의 오디오 녹음이 가능해진다.


미디어플레이어는 오디오 스트리밍 연결 지원으로 음악 파일 재생시 중간에 멈추지 않고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음악 플레이어나 게임 등에서 앨범이나 트랙이 변경되는 중간에도 음악이 끊기지 않고 원활하게 전환된다.


새로운 API는 미디어라우터의 표준 매커니즘과 미디어 재생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한다. 유선 헤드셋과 a2dp 블루투스 헤드셋, 그리고 스피커를 위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개발자는 그들의 앱 안에 라우팅 옵션을 추가할 수 있다.


 


위젯 자동 크기 조절 및 기타 사항


안드로이드 4.1은 개선된 앱 위젯을 통해 사용자가 위젯을 홈 스크린에 끌어다놓았을 때 홈 화면의 남은 공간에 맞춰 위젯의 크기를 자동 조절해준다. 따라서 기존의 위젯 선택 화면에서 여러 규격의 위젯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지 않아도 되고, 원하는 위치에 위젯을 넣지 못해 홈 스크린 화면을 다시 편집하거나 새 스크린 영역을 만들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라이브 배경 화면의 미리보기 지원, 720x720 사이즈의 고해상도 연락처 사진 지원, NFC 기반의 안드로이드 빔에서 보다 쉬운 사진, 비디오, 다른 페이로드 공유가 가능하도록 데이터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활용, 무선랜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에 멀티캐스트 DNS 기반의 서비스 탐색 지원, Wi-Fi Direct 서비스 탐색, 네트워크 대역폭 관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수원 수석기자 / swlee@bodnara.co.kr


[관련기사]

진화하는 안드로이드 태블릿PC, 허니컴에서 ICS 업그레이드로 바뀌는 점은?
범람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태블릿PC들,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개발자 프리뷰 이후 6개월, 윈도우 8 컨슈머 프리뷰의 변화는?
LTE 스마트폰 5종+1 비교, 갤럭시S2 LTE, 갤럭시S2 HD LTE, 옵티머스 LTE, 베가 LTE, 레이더 4G, 레이저
태블릿의 함정에 빠진 아이패드 경쟁자들







Creative Commons License 보드나라의 기사는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원본 배포처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원본 배포처 가기

덧글

댓글 입력 영역